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TO_CHAR()은 날짜 숫자등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 -> 얘네를 형식 변환 함수라고 한다 날짜에서 바로 숫자는 안돼 날짜 포맷 변경 (YYYY-MM-DD) SELECT TO_CHAR(SYSDATE, 'YYYYMMDD') --20221202 , TO_CHAR(SYSDATE, 'YYYY/MM/DD') --2022/12/02 TO_CHAR(SYSDATE, 'YYYY-MM-DD') --2022-12-02 TO_CHAR(SYSDATE, 'YYYY-MM-DD HH24:MI:SS) --2022-12-02 11:10:52 -관련 코딩테스트 문제 문제 설명 다음은 종합병원에 속한 의사 정보를 담은DOCTOR 테이블입니다. DOCTOR 테이블은 다음과 같으며 DR_NAME, DR_ID, LCNS_NO, HIRE_YMD,..
burger_prince = 4990 print(burger_price)//내장함수 burger_price을 출력하려면 내부적으로 엄청 복잡한 과정이 있지만 그런데 우리가 알필요는 없고 주요 기능에만 집중하기 위해 함수를 사용한다 print함수처럼 자주 쓰이는 함수는 기본으로 제공이 되는데 이걸 내장함수라고 함 -> 언어만든 사람들이 미리 구현 해놨음 이거 말고는 직접 만들어야함 def #새로운 함수를 정의 함 def hello(): #만들 함수의 이름을 씀 함수의 헤더 print("hello!") print("welcome") #이렇게 함수를 정의 해주고 hello() 하면 사용된다 #위에 두줄을 저장함 문제 동욱이는 얼마 전 카페 알바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초짜이다 보니 실수가 잦네요. 실수를..
추상화란 (abstraction) 복잡한 내용은 숨기고 주요 기능에만 신경쓰는 것 ex) 스마트폰을 사용할때 하드웨어/통신/소프트웨어에 대해 잘 모르지만 쓰는 것 -변수(Variavle) 값을 저장 함 x = 254 y = 317 print(x+y) -함수(Function) 명령을 저장하는 것 ->print("Hello World!") 찍으면 hello가 나오는데 우리는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모르지만 돌아가는걸 아는게 추상화의 최고 장점이자 목적 -객체
컴퓨터 = 복잡한 계산기 프로그래밍이란? 계산할 수식들을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 계산기는 숫자만 가능하지만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할때는 다양한 종류를 사용 가능함 = 자료형 (data Type) 종류는 -정수 (Interger) -소수(Floating Point) -문자열(String) -불린(Boolean)
파이썬에서는 주석을 #으로쓴다 코멘트 사용 이유 -복잡한 코드 설명 -하다가 만 부분 표시 -다른 개발자들과 소통

Python interpreter란? -파이썬 코드를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 -Phcharm 통합개발환경(IDE)
생성자란? 객체를 생성했을 때 어떤 작업을 수행할거야? 라는 뜻 클래스 명이랑 똑같은게 생성자임 여러개 가능(인자가 없거나 갯수가 달라야함) People Student = new People(); 이렇게 객체를 만들었으면 다른 생성자가 따로 없으면 컴파일러가 실행 시 기본적으로 People 클래스안에 People(){}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 객체를 만들 때 안에 있는 내용을 무조건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