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에러내용web.xml에 컨텍스트 매개 변수 입력 시 오류 JDBC 연결 설정 개선 시 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 에러 에러문구 There is '1' error in 'javaee_7.xsd'. schema_reference.4: Failed to read schema document 'platform:/plugin/org.eclipse.xsd/cache/www.w3.org/2001/xml.xsd', because 1) could not find the document; 2) the document could not be read; 3) the root element of the document is not xsd:schema Multiple annotatio..

웹 프로그래밍은 기존의 프로그래밍 방식이랑 좀 다름 개발자가 모든 처리 과정을 직접 설계하는 방식이 아니고 개발자의 코드를 정해진 구조에 넣는 방식이라 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을 이해해야함 웹 프로젝트의 기본 구조 브라우저 혹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서버에서 전송한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고 (rendering 랜더링)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이용해서 서버에 원하는 데이터를 보내고(요청 request) 받음 응답(response) 관련 기술 :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서버 혹은 was 이미지같은 고정데이터 제공하거나 동적으로 매번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WAS 관련기술: 서블릿/JSP, 각종 프레임워크와 언어들 데이터 베이스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본적으로 관계형..

이거 보면 inputController이 HttpServlet상속하잖아 근데 Httpservlet가 doGet메서드를 가지고 있다는걸 어떻게 알수있어서 저렇게 바로 이용한거냐면 컨트롤 누르고 부모 클래스 클릭하면 쭉 나온다!

인텔리제이로 주석치니까 밑에 초록색 나오더라 해결법: 한글이랑 영어랑 띄워쓰기하니까 완성! -한글이랑 붙여써서 오탈자로 인식하는거였음!

스테이지에 올라온 파일 커밋하기 - git commit 파일이 스테이지에 있다면 이제 버전을 만들 수 있어 깃에서는 버전을 만드는 것을 간단하게 커밋(commit)라고해 커밋할 때는 그 버전에 어떤 변경사항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메시지를 함께 기록해둬야해 1.깃에서 파일을 커밋하는 명령은 git commit야 한 칸 띄운 후에 -m 옵서ㅕㄴ을 붙이면 커밋과 함께 저장할 메시지를 적을 수 있어 이 메시지를 커밋 메시지라고 해 터미널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봐 git commit -m"message1" *커밋 메시지는 한글로 적어도 되지만 터미널 창에 한/영 전환도 번거롭고 나중에 외국인 개발자랑 공유할 수도있으니까 주로 영어로쓰자 2.커밋 후에 결과 메시지를 보면 파일1개가 변경되었고, 파일 1개의 ..

1. 변경에 유리한코드(1)- 다형성, factory method 만약 SportsCar car = new SportsCar(); 라는 코드가 있다면 Truck car=new Truck()로 바꾸고싶어 그러면 이걸 두번 바꿔야하잖아 SportsCar car = new SportsCar(); Truck car=new Truck() 근데 이걸 Car car = new SportsCar(); Car car = new Truck(); 이렇게 바꾸면 변경을 한번씩만 해도 돼 이게바로 다형성을 이용한거야 조상을 이용해서 조상타입의 참조변수로 바꾸면 변경 포인트가 하나로 줄어들지 (참고로 이건 Car가 조상일때야) 변경시 적은 노력으로 바꿀 수 있고 실수했을때도 쉽겠지 더 변경 포인트를 줄이고 싶으면 별도의 메서드를..

깃에서 버전이란 초안 1 초안 2 이런식으로 수정하면 버전 관리 힘드니까 만든 시간과 수정내용까지 기록할 수 있는게 버전관리 시스템임 스테이지와 커밋 이해하기 깃은 어떻게 파일 이름은 유지하면서 수정내용을 기록하는 걸까? 눈에 안보이는 가상 개념들이 등장하기때매 생소하다 -작업트리 가장 왼쪽에 있는 작업트리(working tree)는 파일 수정, 저장등 작업하는 디렉터리임 앞에서 만들었던 hello-git 디렉터리가 작업트리임 (즉 눈에 보이는거) 스테이지 스테이지(stage)는 버전으로 만든 파일이 대기하는 곳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작업트리에서 10개의 파일을 수정했는데 4개 파일만 버전으로 만들려면 4개의 파일만 스테이지에 넘겨주면돼 저장소 저장소는(reposi..

깃에서는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간단한 메모와 함게 수정 내용을 스냅숏으로 찍어서 저장한다 이것을 버전이라고 함 깃 초기화 하기 - git init 1.깃 저장소를 만들 디렉터리를 만들어 보겠슴 터미널 창을 열고 이렇게 입력해서 홈 디렉터리에 hello-git이라는 디렉터리를 만들어봐 그리고 cd 명령어를 사용해 hello-git 디렉터리로 이동해봐 $mkdir hello-git $cd hello-git 2. hello -git 디렉터리 안에 내용을 보려고 ls-la입력 ㄱㄱ $ls -la 마침표가 하나인 항목은 현재 디랙터리를 나타내고 마침표가 두 개인 항목은 상위 디렉터리를 나타낸다 아직 아무 것도 안만들어서 없음 3. 이 디렉터리에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깃에 git init명령을 입력해봐 git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