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불대수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 불 대수의 값, 진리값 Ttue / False 뿐임 불대수의 연산 AND / OR / NOT 명제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 참인 명제 2는 1보다 적다 - 거짓은 명제 한국의 수도는 어디? - 명제가 아님 (질문이라서) 차은우는 이쁘다 - 명제가 아님(참과 거짓을 판단 할 수 없어서) AND 연산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X AND Y가 참 X Y X AND Y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OR 연산 X와 Y 중 하나라도 참이면 X OR Y는 참 X Y X OR Y TRU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가장 오래된 방식(% 기호) name = "최지웅" age = 32 print("제 이름은 %s이고 %d살입니다" %(name,age)) #출력결과 제 이름은 최지웅이고 32살입니다 이제는 잘 쓰지 않는, 옛날 방식이라고 합니당 %s, %d와 같은 '포맷 스트링'이라는 것을 사용하는데요 . C나 자바 등 많은 언어들에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열 포맷팅을 합니다 현재 가장 많이 쓰는 방식(format 메소드) 새로운 방식(f-string) name = "최지웅" age = 32 print(f"제 이름은{name}이고 {age}살입니다."} 파이썬 버전 3.6부터 새롭게 나온 방식입니다. 아직 완전히 대중화되지는 않았지만 좋은 평을 받고 있기 때문에, 곧 f-string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로 갈 수..
format 문자열 포맷팅 year = 2022 month = 12 day = 29 print("오늘은" + year + "년" + month + "월" + day+"입니다") #변수들은 지금 다 정수형이라 더하기가 안된다 형변환해줘야함 print("오늘은"+str(year)+"년"+str(month)+"월"+str(day)+"입니다) #근데 이렇게 하면 너무 귀찮으니까 #문자열 포맷팅을 쓰면된다 예시 print("오늘은 2022년 12월 06일입니다") #문자열의 형태를 잡아주고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 # 이렇게 값을 넣어줄 공간을 다 중괄호로 한다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format()) #그리고 뒤에 .format을 쓰고 print("오늘은 {}년..
형변환 값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 숫자->숫자 print(int(3.8)) #결과는 정수로 변환 돼 3이 나온다 print(float(3)) #결과는 소수 3.0 문자->숫자 print(int("2")+int("5")) #int는 괄호 안의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문자열 2가 정수형 2로 / 문자열 5가 정수형5로 바뀐다 -> 7출력 print(float("1.1")+float("2.5") #3.6 출력 숫자->문자 print(str(2) + str(5)) #str은 string 즉 문자열의 줄임말 괄호안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 ->문자열 25가 출력 age = 7 print("제 나이는"+age+"살입니다") #이건 오류 나온다 #문자열과 정수형을 연결X #이럴 경우 문자열로 변..
외부 조인 외부 조인은 한쪽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 값이 나온다 (내부 조인은 두 테이블 모두) 외부 조인의 기본 left outer join 왼쪽 테이블의 내용을 모두 출력한다라고 생각하면 쉽다 JOIN 여러 테이블을 합쳐서 하나로 보이게 만드는걸 JOIN이라고 함 SELECT intem.id, intem,name, stock.item_id, stock.inventory_count FROM item LEFT OUT JOIN stock ON item.id = stock.item_id 1 . LEFT OUT JOIN은 왼쪽에 있는 item 테이블을 기준으로 stock를 합치라는 소리임 어떻게 합치냐면 기준은 ON으로 시작하는 구문에 있음 두 테이블을 합칠 때 item 테이블의 id컬럼의 값과 stop 테..
문자열(String) 키보드로 쓸 수 있는 문자들을 표현하는 자료형 ' ' ," "를 써서 사용 문자열 연산 파이썬에서 문자열 덧셈은 문자열을 연결하라는 뜻 "10"+"1" #101 "Hello" * 3 #"Hello"+Hello"+Hello" #HelloHelloHello " "안에 ""가 있을 때는 \(역슬래시) 사용하면 된다 print("영화 '김밥'에서 \"김밥~\"라는 대사가 유행했다.")
#덧셈 print(4 + 7) #뺄셈 print(2-4) #곱셈 print(5 * 3) #나머지 나머지 값이 나온다 print(7 % 3) #거듭제곱 2*2*2임 print( 2 ** 3) -> 정수형과 정수형의 계산은 정수형이 나온다 ->소수형과 정수형은 소수형의 값이 나온다(파이썬에서 소수와 정수의 계산은 힘이 더 쎈 소수가 나온다) -> 나눗셈은 다 소수형으로 나온다 정수형으로 나오게 하려면 형변환을 해야함 #floor division #나눗셈의 몫 - 나눗셈 결과의 '몫'을 가져옴 print(7 // 2) #나눈 결과값에서 소수 부분을 버리는 것 #3.5가 나와야하는데 소수를 버리니까 3만 나온다 print(8.0 // 3) #2.0이 출력한다 //는 둘중 하나가 소수형이면 소수형으로 나온다 #그..
파ㄹ def hello(name): #hello함수를 정의 할 때 name라는 파라미터를 받도록함 print("hello") print(name) print("Welcome") hello("hi") #실제 hello값을 사용 할때 우리가 원하는 값을 파라미터로 넘겨 줄 수 있음 실행하면 hello hi Welcome hello함수는 파라미터 namep 여러 개의 파라미터 동시에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방법 1. 2개인 경우 def print_sum(a, b): #두수의 합을 출력해주는 함수 -> 숫자 두개니까 파리미터 두개 print(a + b) print_sum(7, 3)#7이 a에 들어가고 3이 b에 들어간다 2. 3개인 경우 def print_sum(a,b,c): print( a + b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