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리스트(list) 수정 제일 먼저 독학해볼 내용은 리스트 수정인데요. 저번시간에 리스트 인덱싱에 대해서 공부해 보아서 리스트 자료들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들 아실 거에요! 자 먼저 a라는 변수에 [1, 2, 3, 4, 5]의 리스트를 선언해 주었습니다. 그러면 a에는 아래 표와 같이 값들이 들어가게 되는데요. [0] [1] [2] [3] [4] 1 2 3 4 5 여기서 [2]의 값인 3만 6으로 수정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파이썬에서 리스트 각각의 값에 접근하고 싶다면 a[인덱스값]으로 하면 되는데요 2번째 값을 수정하고 싶기 때문에 a[2] = 6 이라고 코드를 작성하시면 3이 6으로 수정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리스트 수정 정말 간단하죠? 리스트 요소 삭제 (del) 그렇다면..
프레임 워크 : 자동차의 뼈대 라이브러리: 자동차의 구성품(바퀴, 핸들, 엔진 등) 라이브러리 -개발시 필요한 여러기능(클래스와 함수) 종류 표준라이브러리 - 내장함수(System.out.println()) 외부라이브러리 - jQuery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뼈대나 구조 -라이브러리의 확장판 종류 스프링 (자바) Vue.js(자바스크립트) React.js(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차이 제어 흐름에 대한 주도권 라이브러리 사용시 개발자가 전체 흐름을 만들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조합함 -> 개발자가 주도권 프레임워크 사용시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는 프레임워크 위에서 통제 라이브러리와 달리 프로그래밍 규칙이 미리 정해져있음 ->프레임워크가 주도권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원소의 평균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0 ≤ numbers의 원소 ≤ 1,000 1 ≤ numbers의 길이 ≤ 100 정답의 소수 부분이 .0 또는 .5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numbersresult [1, 2, 3, 4, 5, 6, 7, 8, 9, 10] 5.5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4.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numbers의 원소들의 평균 값은 5.5입니다. 입출력 예 #2 numbers의 원소들의 평균 값은 94.0입니다. 다. 풀이 def solution(numbers): a = sum(n..
numbers[0] = 7 #정수 7을 0번 인덱스에 저장하는 것 리스트 list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했는데 값을 여러개 저장하고 싶으면 리스트를 사용 대괄호로 시작하면 된다 numbers = [2,3,5,7,11,13] names = ["김","이","박","최"] 리스트의 값들을 요소라고 부른다 인덱스-요소의 위치 인덱싱-인덱스를 통해 요소를 받아 오는 것 print(names[1]) -> 이러면 "이"가 출력된다 파이썬에서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함 print(numbers[1]+ number[3]) -> 10출력된다 #변수에 저장해서도 사용 가능 num_1 = numbers[1] num_3 = numbers[3] print(num_1 + num_3) #10출력된다 인덱스 범위를 넘어가면 오류 ..
break문 만약 while문의 조건 부분과 상관 없이 반복문에서 나오고 싶으면, break문을 사용하면 됩 i = 100 while True: # i가 23의 배수면 반복문을 끝냄 if i % 23 == 0: break i = i + 1 print(i) 115 니다. continue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행 부분을 중단하고 바로 조건 부분을 확인하고 싶으면 continue문을 쓰면 됩니다. i = 0 while i < 15: i = i + 1 # i가 홀수면 print(i) 안 하고 바로 조건 부분으로 돌아감 if i % 2 == 1: continue print(i) 2 4 6 8 10 12 14
만약 -- if 그렇지 않으면 -- else 파이썬에서는 상황별로 다른 동작을 하기 위해서 if문과 else문을 사용하면 된다 if문 구조 if 조건 부분: 수행 부분 while 다운로드 안 받은 이미지가 있다: 다음 이미지를 본다 if 이미지가 png 파일이다: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else: print("png가 아닙니다!") if문 문법 if 조건 부분(불린 값으로 계산되는 식 x < 3, name =="홍길동"): 수행 부분(조건을 충족했을 때, 실행하고 싶은 명령) #온도가 10도 이하면 자켓을 출력 temperature = 8 if temperature

while 반복문 구조 while 조건 부분: 수행 부분 어떤 웹사이트에 있는 이미지를 받고 싶으면 while 다운 안 받은 이미지가 있다: 다음 이미지를 보고, 다운로드한다 (반복)-> 위에 조건 부분에 부합할 때까지 ( 다운 다 받으면 끝남) while 반복문 문법 while 조건 부분 (불린 값으로 계산된다 ex) x
컬렉션프레임웍 컬렉션(collection) -여러 객체(데이터)를 모아 놓은 것을 의미 프레임 웍(framework) -틀(frame)작업(work) -표준화, 정형화된 체계적인 프로그래밍 방식 +라이브러리 -자유도가 떨어지지만 프로그램의 생산성이 올라간다 -유지보수가 쉬워진 라이브러리(도서관-책-정보) -다른 사람이 모아놓은 기능 -기능만 제공 컬렉션 프레임웍(collections framework) -컬렉션(다수의 객체)을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램 방식 -컬렉션을 쉽고 편리하게 다를 수 있는 다양한 객체를 제공 -java.utill패키지에 포함 jdk1.2부터 제공 컬렉션 클래스(collection class)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예, Vector, ArrayList,H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