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생성자 오버로딩이란 뭘까? 생성자 오버로딩이란 매개 변수를 달리하는 생성자를 여러 개 선언하는거야 매개변수의 타입,개수,순서가 다르게 선언하는거지 public class Car{ Car() { ... } Car(String model) { ... } Car(String model, String color){ ... } Car(String model, String color, int maxSpeed) { ... } } //오버로딩한 예 생성자 오버로딩 주의 점은 매개 변수의 타입과 개수 선언된 순서가 똑같을 경우 매개 변수 이름만 바꾸는건 오버로딩이 아.니.야 생성자가 오버로딩이 됐다면 new 연산자로 생성자를 호출할 때 제공되는 매개값의 타입과 수에 의해 호출될 생성자가 결정돼~ package sec03..

생성자는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해 new연산자로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호출할때 사용하지! 객체 초기화란 필드를 초기화, 메소드를 호출해서 객체를 사용할 준비를 하는 걸 말해! 모든 클래스에 존재하고 없으면 생성자가 자동 추가 돼 기본생성자 모든 클래스에 반드시 존재하고 생략하면 컴파일러가 기본 생성자를 바이트 코드에 자동추가해 생성자 선언으로 하려면 클래스(매개변수선언, ...) { //객체 초기화코드 } 이렇게 하면돼 메소드랑 비슷하지만 리턴타입이 없고 클래스 이름이랑 동일해~ 생성자 블록에는 객체 초기화코드가 작성되는데 필드 초기화값을 저장하거나 메소드를 호출해 이게 객체 사용 준비단계인거지 -> 일단 자세한건 뒤에 알아보장 넘어가 필드 초기화 클래스로 부터 객체가 생성될 때 초기값 자동설정말고 다른 값..

필드란 말이야 객체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야 (객체 고유의 데이터, 부품, 현재 상태) 자동차가 객체라고 치면 제작회사 모델 색 최고속도 이런건 정해져있는 고유 데이터겠지? 현재 속도, 엔진 회전 수 이런건 상태 데이터고 차체 엔진 타이어는 부품에 해당하는거야 조금 이해가지? 즉 자동차 클래스(설계도)를 설계한다면 이 정보들은 필드로 선언이 되어야 하는거지! 필드 선언 1클래스 중괄호 {} 부분 어디서든 가능 2생성자,메소드 앞 뒤 어디든 상관없음 3하지만 생성자,메소드 {} 블록 내부에서는 안돼 4타입은 필드에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해 생략도 가능해 필드 사용 필드를 사용한다는건 말이야 필드값을 읽고 변경하는 작업을 말하는거야 클래스 내부의 생성자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단순하게 필드 이름..

프레임 워크 : 개발할떄 필요한거를 다 모아놓은거 (도구 망치 요런거 생각하면 될 듯)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는 사람이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속성(멤버변수)과 행동(메소드)를 정의 해 놓은 것 -> 속성과 행동을 묶어놓은게 객체 --> 이걸 지향하는게 객체지향 PUblic calss person(person이라는 붕어빵 틀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돼!) 멤버변수 - 객체에 정의된 속성 형식 : 접근지정자 데이터타입 변수명; ex) ->public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otected int height; 접근지정자 안쓰면 디폴트가 된다 -형식 : 객체명(인스턴스명). 멤버변수명 = 값;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입 ) 메서드 -객체에 정의된 행동(C언어에서 함수..

코드들은 외우지말고 복사해서 쓰면 되는 것 ->외우는 개발자 없음 css기초 HTML 태그는 부모 자식이 있음 나를 감싸고 있는 태그가 바뀌면 안의 내용물도 영향을 받음 박스를 옮기면 내용물도 옮겨지는 느낌 css사용법 안에 로 공간을 만들어서 작성함 .mytitle라는 클래스를 가리킬때 .mytitle{...}라고 써줘야함 중요! .
브라우저의 역활은 1)서버에 주문을 하고 그 주문을 가져다주는것= 2)그림그려서 나한테 보여주는거 웹이란 서버가 준비해주는것(API라는 창구에 저장해 있는)을 걍 받아오는 것 ->https://naver.com / 이건 >> naver.com 이라는 이름의 서버에 있는 창구에서 받아오는 것 --> 이건 HTML을 받아오는 거라서 "나만 보게"수정가능 (네이버 홈페이지 화면에서 이름수정) -->데이터만 받아오면 자, 공연 티켓을 예매하고 있는 상황을 상상해봅시다! 좌석이 차고 꺼질때마다 보던 페이지가 리프레시 되면 난감하겠죠ㅠ? 이럴 때! 데이터만 받아서 받아 끼우게 된답니다. -HTML은 뼈대고 (얘는 뉴스야 뉴스옆에는 메모장이 있어 이런식) -CSS는 꾸미는거 (폰트는 16 굵기는 굵게 이런거) -자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