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정처기 공부 - JAVA 객체&인스터스 본문
프레임 워크 : 개발할떄 필요한거를 다 모아놓은거 (도구 망치 요런거 생각하면 될 듯)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는 사람이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속성(멤버변수)과 행동(메소드)를 정의 해 놓은 것 -> 속성과 행동을 묶어놓은게 객체
--> 이걸 지향하는게 객체지향

PUblic calss person(person이라는 붕어빵 틀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돼!)
멤버변수
- 객체에 정의된 속성
형식 : 접근지정자 데이터타입 변수명;
ex) ->public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otected int height;
접근지정자 안쓰면 디폴트가 된다
-형식 : 객체명(인스턴스명). 멤버변수명 = 값;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입 )

메서드
-객체에 정의된 행동(C언어에서 함수)
-형식: 접근지정자 리턴타입 메서드명(인자) {
하려고 하는 일을 정의...} -> 메서드명이 걷는다면 괄호안에는 걷는다는 내용을 쫙 써주면 된다
ex)public String get_name(){
reture this.name;
}
->pprivate void set_age(int age)
메서드 사용
형식: 객체명. 메서드(인자값);
ex) p.1set_name("홍길동");
p1. get_age();
※접근 지정자에 따라서 직접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 멤버변수나 메서드나 똑같음
데이터 타입
식탁을 메모리라고 생각 (한정적임) -> 그래서 타입별로 구분해서 쓰는게 효율적임
바이트=밥그릇 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