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리스트 본문
728x90
numbers[0] = 7
#정수 7을 0번 인덱스에 저장하는 것
리스트 list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했는데
값을 여러개 저장하고 싶으면 리스트를 사용
대괄호로 시작하면 된다
numbers = [2,3,5,7,11,13]
names = ["김","이","박","최"]
리스트의 값들을 요소라고 부른다
인덱스-요소의 위치
인덱싱-인덱스를 통해 요소를 받아 오는 것
print(names[1])
-> 이러면 "이"가 출력된다
파이썬에서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함
print(numbers[1]+ number[3])
-> 10출력된다
#변수에 저장해서도 사용 가능
num_1 = numbers[1]
num_3 = numbers[3]
print(num_1 + num_3)
#10출력된다
인덱스 범위를 넘어가면 오류 발생함
-도 사용가능
numbers = [2,3,5,7,11,13]
names = ["김","이","박","최"]
print(numbers[-1])
print(numbers[-2])
-> 이럴 경우 뒤에서 부터 -1 해서 13이 나오고, -2해서 11이 나온다
->-6을 하면 맨 앞인 2가 나오고
->-7하면 범위를 넘어서 오류가 발생함
리스트 슬라이싱
리스트의 일부를 통째로 잘라서 사용하는 것
#리스트의 인덱스 0부터 3까지를 자른다
numbers[0:4]
#[2, 3, 5, 7]
#끝에 숫자가 없으면 인덱스 2부터 마지막까지
print(numbers[2:])
#처음에 숫자를 안쓰면 맨 앞에서 부터 인덱스 2까지
print(numbers[:3])
슬라이싱한 리스트를 또 다른 변수에 넣고
새로운 변수를 인덱싱 할 수 있음
new_list = number[:3] #[2,3,5]
print(new_list[2])
#5가 출력된다
리스트에 있는 요소 바꾸기
728x90
'개발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스트 (수정, 삭제 del, append, insert 함수) (2) | 2023.01.11 |
|---|---|
| break문 continue문 (1) | 2023.01.02 |
| if문 개념 (0) | 2023.01.01 |
| while문 (0) | 2023.01.01 |
| 스타일(PEP 8 스타일 가이드) (1) | 2022.12.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