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이스케이프문 \ System.out.print("hello\"world") ->hello "world 나온다 \n 두 줄로 나누기 \t 탭을 출력 math 메소드 -메소드를 실행하거나 부르려면 ()가 필요함 Math.random() 무작위 값 생성 / 매개변수 필요 x Math.min() Math.min(32,464) 32~464사이의 최소 값 찾기 Math.max() 최대 값
이해하기 쉬운 코드 = 좋은 스타일을 가진 코드 안 좋은 스타일의 코드 print(6.28*4) print(3.14*4*4) print(6.28*8) print(3.14*8*8) ->프로그램의 목적 / 숫자의 이미 알 수 없음 개선1 a=3.14 b=4 print(2*a*b) print(a*b*b) b=8 pritn(2*a*b) print(a*b*b) 숫자들이 뭘 의미하는지 알 수 없음 개선2 개선2 a=3.14#원주율(파이) b=4#반지름 print(2*a*b) print(a*b*b) b=8#반지름 pritn(2*a*b) print(a*b*b) 마지막 줄을 보면 a랑b가 뭘 나타내는지 알 수 없음 개선3 PI=3.14#원주율 radius=4#반지름 print(2 * PI *radius) print(pi..
상수 constant 파이썬에서는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인데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를 해주면 된다 프로그램상으로 변하는 것은 없지만 약속이다 다른 언어처럼 강제로 파이썬은 강제로 상수값을 변하지 못하도록 하는 키워드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SCOPE -변수가 사용 가능한 범위 -로컬 변수: 변수를 정의한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글로벌 변: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 -함수에서 변수를 사용하면, 로컬 변수를 먼저 찾고나서 글로벌 변수를 찾음 def my_function(): x = "코드" x = "을지로" my_function() print(x) 이렇게 하면 오류가 난다 x = 100 def my_function(): x = 0 print(x) my_function() print(x) -> 0 100 출력된다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1 x += 1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3 x -= 3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7 x %= 7 자주 쓰이는 표현을 더 간략하게 쓸 수 있게 해주는 문법을 'syntactic sugar'라고 함
옵셔널 파라미터 파라미터에게 기본 값을 설정 할 수 있음 기본값을 설정해 두면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에게 값을 안 넘겨주도 된다 ->옵셔널 파라미터 필수가 아니니까 옵셔널 def myself(name, age, nationality="한국"): print("내 이름은 {}".format(name)) print("나이는 {}살".format(age)) print("국적은 {}".format(nationality)) myself("홍길동", 1, "미국") # 옵셔널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경우 print() myself("홍길동", 1) # 옵셔널 파라미터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내 이름은 홍길동 나이는 1살 국적은 미국 내 이름은 홍길동 나이는 1살 국적은 한국 옵셔널 파라미터는 꼭 마지막에 !
type 함수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다 보면 쓰고 있는 값이 어떤 자료형인지 확실 하지 않을 때가 있음 그럴때 type를 써주면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 가능 print(type(3)) print(type(3.0)) print(type("3")) def hello(): print("Hello") print(type(hello)) print(type(print)) 결과 built-in 내장되어 있는 함수 우리가 직접 정의한 함수가 아니라 파이썬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함수라는 거 실행했을 때, True가 나오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1 print(int(2.5) + int(3.8) > int(str(1) + str(2))) 2 print((12 >= 10 and not 3 > 4) or 3 ** 2 != 9..
불린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 true false가 있음 숫자 예시 print(2>1) print(2=2) print(3 1 and "Hello" == "Hello") #True and True라서 결과로 True print(not not True) #not False 결과는 True가 나온다 print(not not False) #not True 결과는 False가 나온다 print(7 == 7 or (4 10)) #True or False 결과는 True x=3 print(x > 4 or not (x < 2 or x == 3)) False or False 결과는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