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기록장
✅ 1. DHCP란?▪️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쉽게 말하면 IP 주소 자동 분배 시스템📦 누가 이걸 해주냐?DHCP 서버 (보통 공유기나 Windows Server, NAS 등)DHCP 서버는 아래 정보를 자동으로 넘겨줘:IP 주소서브넷 마스크게이트웨이 주소DNS 주소📌 실무 예시:PC 켤 때마다 192.168.0.37 등으로 IP가 바뀌는 건 DHCP 때문이야.→ 고정IP가 필요한 서버/프린터는 DHCP 안 쓰고 수동 지정해야 함! ✅ 2. DNS란?▪️ DNS = Domain Name System도메인 →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왜 필요해?www.naver.com이라는 문자 → 실제 통신할 수 있게 IP 주소로 바꿔줘야 하거든.📌 ..
🧠 Day 1 주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개념"🧩 1. IP 주소란?IP = Internet Protocol쉽게 말해 컴퓨터(장비)의 집주소야. 이 주소가 있어야 서로 통신 가능해.📌 예시:복사편집192.168.0.5 192.168.0 → 집주소 동네.5 → 그 동네의 한 사람🔎 2. IPv4 구조 (현재 실무에서 제일 많이 씀)총 32비트8비트씩 4묶음 (8 x 4 = 32)그래서 xxx.xxx.xxx.xxx 이런 형태가 되는 거야.예시:복사편집192.168.1.10 👉 192는 8비트 = 11000000 (2진수)로 표현 가능해 🛡️ 3. 서브넷 마스크란?어떤 범위가 **"내 네트워크"**이고어떤 범위가 **"밖의 네트워크"**인지 구분하는 마스크야.📌 예시:nginx복사편집IP..
📁 공유폴더 권한별 추가 방법1. Windows 사용자 계정 추가설정 > 계정 > 가족 및 다른 사용자로 이동새 계정 추가 클릭 → 로컬 계정 선택비밀번호는 반드시 설정할 것 (공유 접근 시 필요)2. 공유 폴더 설정폴더 우클릭 > 속성 > 공유 > 고급 공유고급 공유 체크 → 권한 클릭추가 클릭 → 사용자 이름 입력 후 이름 확인 → 확인사용자 권한 설정 (예: 읽기/쓰기/전체 권한)3. 공유 탭에서 사용자 추가공유 탭에서 사용자 추가 (위에서 만든 사용자 계정)권한 수준 선택 (예: 읽기, 읽기/쓰기)4. 다른 PC에서 공유 폴더 접속 테스트\\\\컴퓨터이름\\공유폴더명 또는 \\\\IP주소\\공유폴더명으로 접속계정명/비밀번호 입력해서 접속 가능 여부 확인5. 작업 증명정상 접속 확인되면 작업 문서..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은 DB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개의 연산을 묶엉서 처리하는 개념임 📌 예시: 은행에서 A 계좌에서 B 계좌로 10만 원을 이체한다고 하면,A 계좌에서 10만 원을 출금B 계좌에 10만 원을 입금👉 이 두 과정이 함께 성공해야 하고, 하나라도 실패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야 해.👉 이걸 보장하는 게 바로 트랜잭션의 ACID 특성이야. 트랜잭션의 4가지 주요 특성 (ACID)트랜잭션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 이 네 가지 특성을 가져야 해. 특성설명예시1) 원자성 (Atomicity)트랜잭션의 연산이 모두 실행..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를 코드 스니펫이라고하는 기능으로 좀 더 쉽게 작성 가능하다 Script화면에서 우클릭 후Code Snippet -> Code Snippet 클릭 예시) 기존 주석 있던거 복붙한건데그림저럼 선택하면 자동으로 파일명 들어감날짜랑 다른 것도 선택 가능 그리고 등록한걸 입력하면 사용가능$end$는 커서위치잡아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는 코드스니핏에 등록해서 쓰면됨

터미널 열기Windows: 시작 메뉴에서 'cmd' 또는 'Command Prompt'를 검색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열거나, 'PowerShell'을 검색하여 파워셸을 열 수 있습니다. 또는 'Windows Terminal'을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터미널은 컴퓨터를 직접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우리가 익숙한 그래픽으로 이루어진 GUI보다 텍스트 기반의 CLI(명령어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식)를 통해 터미널을 사용하는 이유는 일부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더많은 명령과 스크립트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사용자가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쉘(보통은 Bash)이 해당 명령어를 해석하고 커널이 이를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명령어 실행하기디렉토..

호스팅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해 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서버 개발이나 관리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대다수 사람들은 전문 업체를 통해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합니다.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구입하고 운영할 필요 없이, 호스팅 업체에서 미리 구축한 서버를 임대하여 사용합니다. 호스팅의 종류호스팅의 종류에는 크게 웹호스팅(=공유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가 있습니다.웹호스팅 (공유 호스팅)하나의 서버를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호스팅입니다.서버 호스팅서버 자체를 전체로 임대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로, 대규모 트래픽이 있는 사이트나 대규모 비즈니스에 적합합니다.클라우드가상의 서버를 임대하는 서비스로, 확장성과..

DNS란?더보기DNS(Domain Name System)인터넷의 모든 장치는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지만 사람은 IP주소 대신 기억하기 쉬운도메인 이름을 사용함ex)www.naver.com DNS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함길고 복잡한 IP 주소를 외울수가 없기에 문자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 DNS를 사용한다. DNS의 역할더보기1. DNS Server에게 자신의 IP는 어떤 것인지 알려주고 이 IP가 www.naver.com이라는 는 주소를 갖도록 요청함2. DNS Server는 요청을 받아서 www.naver.com이라는 는 도메인 네임은 93.111.111.34라는 ip를 기억함(네이버 ip아님 예시임)집에 있는 랜선을 유저의 컴퓨터에 꽂거나 또는 와이파이로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