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개념 본문
728x90
🧠 Day 1 주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개념"
🧩 1. IP 주소란?
- IP = Internet Protocol
- 쉽게 말해 컴퓨터(장비)의 집주소야. 이 주소가 있어야 서로 통신 가능해.
📌 예시:
복사편집
192.168.0.5
- 192.168.0 → 집주소 동네
- .5 → 그 동네의 한 사람
🔎 2. IPv4 구조 (현재 실무에서 제일 많이 씀)
- 총 32비트
- 8비트씩 4묶음 (8 x 4 = 32)
- 그래서 xxx.xxx.xxx.xxx 이런 형태가 되는 거야.
예시:
복사편집
192.168.1.10
👉 192는 8비트 = 11000000 (2진수)로 표현 가능해
🛡️ 3. 서브넷 마스크란?
- 어떤 범위가 **"내 네트워크"**이고
어떤 범위가 **"밖의 네트워크"**인지 구분하는 마스크야.
📌 예시:
nginx
복사편집
IP 주소: 192.168.1.1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앞의 255.255.255는 내 네트워크,
→ 마지막 .0은 변할 수 있는 범위 = 호스트 수를 의미해.
👉 따라서 이 경우,
같은 네트워크로 인식되는 장비: 192.168.1.xxx
🛠️ 4. 실무에서 꼭 보는 명령어
bash
복사편집
ipconfig
- 윈도우에서 내 컴퓨터의 IP, 서브넷, 게이트웨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 실습:
- 명령 프롬프트 열기 (Win + R → cmd)
- ipconfig 입력
결과 예:
nginx
복사편집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100 서브넷 마스크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192.168.1.1
✅ 오늘 요약 정리
용어의미실무 활용
| IP 주소 | 컴퓨터 주소 | 사내 장비 식별 |
| 서브넷 마스크 | 같은 네트워크인지 구분 | 내부/외부 트래픽 구분 |
| 기본 게이트웨이 | 외부로 나가는 출구 | 인터넷 연결 핵심 |
728x90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HCP & DNS 그리고 네트워크 흐름 (0) | 2025.05.17 |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