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DHCP & DNS 그리고 네트워크 흐름 본문
728x90
✅ 1. DHCP란?
▪️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쉽게 말하면 IP 주소 자동 분배 시스템
📦 누가 이걸 해주냐?
- DHCP 서버 (보통 공유기나 Windows Server, NAS 등)
- DHCP 서버는 아래 정보를 자동으로 넘겨줘: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게이트웨이 주소
- DNS 주소
📌 실무 예시:
PC 켤 때마다 192.168.0.37 등으로 IP가 바뀌는 건 DHCP 때문이야.
→ 고정IP가 필요한 서버/프린터는 DHCP 안 쓰고 수동 지정해야 함!
✅ 2. DNS란?
▪️ DNS =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 왜 필요해?
www.naver.com이라는 문자 → 실제 통신할 수 있게 IP 주소로 바꿔줘야 하거든.
📌 실무 예시:
DNS 오류 나면 인터넷이 안됨 →
크롬에서 DNS_PROBE_FINISHED_BAD_CONFIG 이런 에러 뜸🧪 실습 #1: DNS, DHCP 상태 확인
🖥️ 윈도우에서 ipconfig /all 실행
bash복사편집ipconfig /all결과 예시:
nginx복사편집DHCP 사용: Yes IPv4 주소: 192.168.0.37 기본 게이트웨이: 192.168.0.1 DNS 서버: 168.126.63.1🧠 확인 포인트
- DHCP 사용 여부: Yes/No
- DNS 주소: KT는 168.126.63.1, Google은 8.8.8.8
🧪 실습 #2: DNS 작동 확인결과 예:→ 여기서 IP 주소가 나와야 DNS가 정상 작동 중이라는 뜻bash복사편집nslookup naver.com makefile복사편집서버: dns.kt.com Address: 168.126.63.1 Name: naver.com Address: 223.130.200.107-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입력해보자:
🧩 3. 회사 네트워크 흐름 구조 간단 정리
plaintext
복사편집
[PC] → [스위치] → [공유기/라우터 = DHCP 서버] → [인터넷] ↳ DNS 서버 설정도 여기서!
- PC가 켜짐 → DHCP 통해 IP 받음 → DNS 통해 사이트 접속 가능해짐
🧠 오늘 요약표
항목의미실무에서 언제 문제 됨?
DHCP | IP 자동할당 | IP 충돌, 인터넷 안됨, 프린터 공유 문제 |
DNS | 도메인 → IP 변환 | 도메인 접속 안될 때 |
nslookup | DNS 작동 확인 | DNS 서버 설정 오류 추적 |
728x90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개념 (0) | 2025.05.17 |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