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Python (24)
기록장
문자열(String) 키보드로 쓸 수 있는 문자들을 표현하는 자료형 ' ' ," "를 써서 사용 문자열 연산 파이썬에서 문자열 덧셈은 문자열을 연결하라는 뜻 "10"+"1" #101 "Hello" * 3 #"Hello"+Hello"+Hello" #HelloHelloHello " "안에 ""가 있을 때는 \(역슬래시) 사용하면 된다 print("영화 '김밥'에서 \"김밥~\"라는 대사가 유행했다.")
#덧셈 print(4 + 7) #뺄셈 print(2-4) #곱셈 print(5 * 3) #나머지 나머지 값이 나온다 print(7 % 3) #거듭제곱 2*2*2임 print( 2 ** 3) -> 정수형과 정수형의 계산은 정수형이 나온다 ->소수형과 정수형은 소수형의 값이 나온다(파이썬에서 소수와 정수의 계산은 힘이 더 쎈 소수가 나온다) -> 나눗셈은 다 소수형으로 나온다 정수형으로 나오게 하려면 형변환을 해야함 #floor division #나눗셈의 몫 - 나눗셈 결과의 '몫'을 가져옴 print(7 // 2) #나눈 결과값에서 소수 부분을 버리는 것 #3.5가 나와야하는데 소수를 버리니까 3만 나온다 print(8.0 // 3) #2.0이 출력한다 //는 둘중 하나가 소수형이면 소수형으로 나온다 #그..
파ㄹ def hello(name): #hello함수를 정의 할 때 name라는 파라미터를 받도록함 print("hello") print(name) print("Welcome") hello("hi") #실제 hello값을 사용 할때 우리가 원하는 값을 파라미터로 넘겨 줄 수 있음 실행하면 hello hi Welcome hello함수는 파라미터 namep 여러 개의 파라미터 동시에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방법 1. 2개인 경우 def print_sum(a, b): #두수의 합을 출력해주는 함수 -> 숫자 두개니까 파리미터 두개 print(a + b) print_sum(7, 3)#7이 a에 들어가고 3이 b에 들어간다 2. 3개인 경우 def print_sum(a,b,c): print( a + b + c..
burger_prince = 4990 print(burger_price)//내장함수 burger_price을 출력하려면 내부적으로 엄청 복잡한 과정이 있지만 그런데 우리가 알필요는 없고 주요 기능에만 집중하기 위해 함수를 사용한다 print함수처럼 자주 쓰이는 함수는 기본으로 제공이 되는데 이걸 내장함수라고 함 -> 언어만든 사람들이 미리 구현 해놨음 이거 말고는 직접 만들어야함 def #새로운 함수를 정의 함 def hello(): #만들 함수의 이름을 씀 함수의 헤더 print("hello!") print("welcome") #이렇게 함수를 정의 해주고 hello() 하면 사용된다 #위에 두줄을 저장함 문제 동욱이는 얼마 전 카페 알바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초짜이다 보니 실수가 잦네요. 실수를..
추상화란 (abstraction) 복잡한 내용은 숨기고 주요 기능에만 신경쓰는 것 ex) 스마트폰을 사용할때 하드웨어/통신/소프트웨어에 대해 잘 모르지만 쓰는 것 -변수(Variavle) 값을 저장 함 x = 254 y = 317 print(x+y) -함수(Function) 명령을 저장하는 것 ->print("Hello World!") 찍으면 hello가 나오는데 우리는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모르지만 돌아가는걸 아는게 추상화의 최고 장점이자 목적 -객체
컴퓨터 = 복잡한 계산기 프로그래밍이란? 계산할 수식들을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 계산기는 숫자만 가능하지만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할때는 다양한 종류를 사용 가능함 = 자료형 (data Type) 종류는 -정수 (Interger) -소수(Floating Point) -문자열(String) -불린(Boolean)
파이썬에서는 주석을 #으로쓴다 코멘트 사용 이유 -복잡한 코드 설명 -하다가 만 부분 표시 -다른 개발자들과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