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Python (24)
기록장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1 x += 1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3 x -= 3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2 x /= 2 # 다음 두 줄은 같습니다 x = x % 7 x %= 7 자주 쓰이는 표현을 더 간략하게 쓸 수 있게 해주는 문법을 'syntactic sugar'라고 함
옵셔널 파라미터 파라미터에게 기본 값을 설정 할 수 있음 기본값을 설정해 두면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에게 값을 안 넘겨주도 된다 ->옵셔널 파라미터 필수가 아니니까 옵셔널 def myself(name, age, nationality="한국"): print("내 이름은 {}".format(name)) print("나이는 {}살".format(age)) print("국적은 {}".format(nationality)) myself("홍길동", 1, "미국") # 옵셔널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경우 print() myself("홍길동", 1) # 옵셔널 파라미터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내 이름은 홍길동 나이는 1살 국적은 미국 내 이름은 홍길동 나이는 1살 국적은 한국 옵셔널 파라미터는 꼭 마지막에 !
type 함수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다 보면 쓰고 있는 값이 어떤 자료형인지 확실 하지 않을 때가 있음 그럴때 type를 써주면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 가능 print(type(3)) print(type(3.0)) print(type("3")) def hello(): print("Hello") print(type(hello)) print(type(print)) 결과 built-in 내장되어 있는 함수 우리가 직접 정의한 함수가 아니라 파이썬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함수라는 거 실행했을 때, True가 나오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1 print(int(2.5) + int(3.8) > int(str(1) + str(2))) 2 print((12 >= 10 and not 3 > 4) or 3 ** 2 != 9..
불린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 true false가 있음 숫자 예시 print(2>1) print(2=2) print(3 1 and "Hello" == "Hello") #True and True라서 결과로 True print(not not True) #not False 결과는 True가 나온다 print(not not False) #not True 결과는 False가 나온다 print(7 == 7 or (4 10)) #True or False 결과는 True x=3 print(x > 4 or not (x < 2 or x == 3)) False or False 결과는 False
불대수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 불 대수의 값, 진리값 Ttue / False 뿐임 불대수의 연산 AND / OR / NOT 명제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 참인 명제 2는 1보다 적다 - 거짓은 명제 한국의 수도는 어디? - 명제가 아님 (질문이라서) 차은우는 이쁘다 - 명제가 아님(참과 거짓을 판단 할 수 없어서) AND 연산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X AND Y가 참 X Y X AND Y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OR 연산 X와 Y 중 하나라도 참이면 X OR Y는 참 X Y X OR Y TRU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가장 오래된 방식(% 기호) name = "최지웅" age = 32 print("제 이름은 %s이고 %d살입니다" %(name,age)) #출력결과 제 이름은 최지웅이고 32살입니다 이제는 잘 쓰지 않는, 옛날 방식이라고 합니당 %s, %d와 같은 '포맷 스트링'이라는 것을 사용하는데요 . C나 자바 등 많은 언어들에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열 포맷팅을 합니다 현재 가장 많이 쓰는 방식(format 메소드) 새로운 방식(f-string) name = "최지웅" age = 32 print(f"제 이름은{name}이고 {age}살입니다."} 파이썬 버전 3.6부터 새롭게 나온 방식입니다. 아직 완전히 대중화되지는 않았지만 좋은 평을 받고 있기 때문에, 곧 f-string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로 갈 수..
format 문자열 포맷팅 year = 2022 month = 12 day = 29 print("오늘은" + year + "년" + month + "월" + day+"입니다") #변수들은 지금 다 정수형이라 더하기가 안된다 형변환해줘야함 print("오늘은"+str(year)+"년"+str(month)+"월"+str(day)+"입니다) #근데 이렇게 하면 너무 귀찮으니까 #문자열 포맷팅을 쓰면된다 예시 print("오늘은 2022년 12월 06일입니다") #문자열의 형태를 잡아주고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 # 이렇게 값을 넣어줄 공간을 다 중괄호로 한다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format()) #그리고 뒤에 .format을 쓰고 print("오늘은 {}년..
형변환 값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 숫자->숫자 print(int(3.8)) #결과는 정수로 변환 돼 3이 나온다 print(float(3)) #결과는 소수 3.0 문자->숫자 print(int("2")+int("5")) #int는 괄호 안의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문자열 2가 정수형 2로 / 문자열 5가 정수형5로 바뀐다 -> 7출력 print(float("1.1")+float("2.5") #3.6 출력 숫자->문자 print(str(2) + str(5)) #str은 string 즉 문자열의 줄임말 괄호안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 ->문자열 25가 출력 age = 7 print("제 나이는"+age+"살입니다") #이건 오류 나온다 #문자열과 정수형을 연결X #이럴 경우 문자열로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