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JavaScript (21)
기록장
멀티로 보고 싶은 파일을 열고 같이 볼 다른 파일 우클릭 측면에서 열기 클릭 그러면 이렇게 두개 동시에 볼 수 있음
Boolean 불린은 true false 이렇게 나눠지고 얘들은 AND OR NOT을 사용 할 수 있음 === 일치 !== 불 일치 AND (&&) OR (|| ) NOT ( ! ) 불린 연산자가 하나만 있을 때는 연산자 기준으로 왼쪽부터 순서대로 보면 된다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하는 타입오브연산자임 typeof 값 이 값을 평가해서 해당하는 자료형을 알려줌 얘만 있으면 우리가 사용하는 자료형이 어떤 자료형인지 간편하게 알 수 있음 사칙연산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서 타입오브 연산을하고 사칙연산을 들어가기 때문에 연산시에 NaN이 뜰 수 있는데 이건 NaN은 Not a number이라고 숫자가 아닌 값을 표현하는 값임 이걸 해결하고 연산하려면 괄호를 쓰면 된다 typeof(3*3) 이렇게
불대수란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임 일반수학은 숫자 진리는 True, False 가 있고 여기서는 AND OR NOT을 사용함 명제는 참, 거짓이 확실한 문장임 ex)서울은 한국의 수도이다 ->참 짜장면은 짬뽕보다 맛있다 -> 주관적인거임 거짓 의문문은 명제가 아님 AND x, y가 둘다 참일때 참 OR x,y가 하나라도 참이면 참 NOT 뒤집어주는거임 참을 거짓, 거짓을 참으로 x4=4j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 ' ' 이거랑 " " 같은 문자열로 활용가능 문자열 구분할때 역슬래쉬 `
console.log(33 - 5 ** 2); /*답은 8 **는 거듭제곱! 거듭 제곱연산은 왼쪽 값을 오른쪽값 만큼 거듭 반복한 값을 반환! 거듭제곱 연산은 빼기 연산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니까 결과적으로 33 - 5 ** 2는 33-25 */ console.log((3 + 27) * 12 ** (5 % 3)); /*답은 4320 괄호가 있을 때는 가장 먼저 괄호안을 계산 즉 (3 + 27) * 12 ** (5 % 3)에서 괄호 안을 먼저 연산하면, 30 * 12 ** 2가 되는데요. 거듭제곱이 곱셈보다 서로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30 * 144가 되니깐, 4320 */ //덧셈 console.log(1 + 8); //빨셈 console.log(6 - 7); //곱셈 console.log(..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 할 때 파라미터를 작성해두면 함수 내부에서 그 값을 변수 처럼 활용 할 수 있었죠 여러개의 파라미터 사용법은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소괄호안에 쉼포를 사용해서 파라미터를 구분해 주면 여러 개의 파라미터를 사용 할 수 있음 //함수선언 function 함수이름(파라미터, 파라미터){ console.log(abc 파라미터) } //함수호출 함수이름(값) function printSium( a, b){ console.log(a + b); } printSium( 9, 8) printSium(18, 0) 실행 결과 17 18 이렇게 필요한 만큼 사용가능 하지만 너무 많은 피라미터를 사용하면 함수 내에 명령들을 작성할떄 코드가 복잡해주니까 함수 정의 시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적절하게 사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