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숫자형 본문

개발/JavaScript

숫자형

HJJJJJ 2022. 7. 22. 23:01
728x90
console.log(33 - 5 ** 2);

/*답은 8 **는 거듭제곱! 거듭 제곱연산은
왼쪽 값을 오른쪽값 만큼 거듭 반복한 값을 반환!
거듭제곱 연산은 빼기 연산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니까 결과적으로 33 - 5 ** 2는 33-25 */






console.log((3 + 27) * 12 ** (5 % 3));
/*답은 4320 
괄호가 있을 때는 가장 먼저 괄호안을 계산 즉
(3 + 27) * 12 ** (5 % 3)에서 괄호 안을 먼저 연산하면,
30 * 12 ** 2가 되는데요. 거듭제곱이 곱셈보다 서로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30 * 144가 되니깐, 4320 */​
//덧셈
console.log(1 + 8);

//빨셈
console.log(6 - 7);

//곱셈
console.log(2 * 2); 

//나눗셈
console.log(5 / 2);

//나머지 구하는거
console.log(7 % 3); //7을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라는거 즉 1이 출력된다 

//거듭제곱
console.log( 2 ** 3 ); //2의 3제곱 즉 2*2*2하라는 소리임 ->8이 출력

자바스크립트는

우리가 배운 기본 사칙연산을 따른다

 

console.log(2 + 3 * 2); //곱하기 먼저하고 더하기-> 원래 수학이랑 같음

console.log((2 + 3) *2); //괄호 먼저 ->원래 기본사칙연산따름

 

 

사칙연산 띄워쓰기: 

꼭 지켜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독성을 위해 암묵적으로 지키는 것 중 하나! 

개발 조직에 따라 약속이 변경 될 수는 있지만

사칙연산시 연산기호 앞뒤로 띄우는건 대부분 이렇게 쓰인다고 보면 돼ㅎㅎ 

 

console.log(11 + 3 * 4);


/*답은 23
자바스크립트는 숫자 연산을 할 때 사칙연산 우선순위를 그대로 따릅니다.
곱셈이 덧셈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니깐, 곱셈 먼저 연산을 해야 하는 거죠.
11 + 3 * 4에서 곱셈을 먼저 연산하면, 11 + 12가 되니깐 답은 23*/
console.log(25 / 5 + 15 % 4);

--> 답은 8
우선순위 생각하면 25/5 + 15 % 4 에서 나눗셈, 나머지연산을 먼저 수행하면 5+3이 되니까 
정답은 8임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대수  (0) 2022.07.31
문자열  (0) 2022.07.31
여러개의 파라미터  (0) 2022.07.21
파라미터  (0) 2022.07.21
함수 선언  (0) 2022.07.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