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장
[인터넷] 브라우저와 작동원리 본문
브라우저란?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를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해주는
sw 어플리케이션임
ex) 크롬 , 웨일 , 엣지등

-브라우저 구성요소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사용자가 브라우저랑 상호작용하는 부분
-주소창, 앞/뒤로가기, 북마크 바, 설정 메뉴 등 포함
브라우저 엔진(Browes Engine)
-사용자 인터페이스랑 렌더링 엔진간 통신담당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수행하면 렌더링 엔진에게 전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
렌더링 엔진(Rendering Engine)
-웹 페이지의 HTML,CSS,JavaScript 코드 파싱하고 화면에 표시
-HTML 코드에서 각 요소를 트리형태로 구성하는 DOM을 생성하고
CSS와 결합해 화면에 렌더링
네트워크(Networking)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HTTP. HTTPS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고 응답받음
JavaScript 엔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는 역할 브라우저에서 동적 웹페이지 제공
ex)V8(구글 크롬과 노드.js), SpiderMonkey(파이어폭스)가 대표적인 자스 엔진
UI 백엔드
- 브라우저의 기본UI 요소를 그리는 부분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사용
브라우저의 모습과 기능을 구현
데이터 저장소(Data Storage)
-브라우저는 쿠키,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IndexeDB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 저장
-저장소로 웹 사이트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추적하는데 사용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작동과정
URL 입력
-사용자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고
Enter을 누르면 브라우저는 이 URL을 분석하여 어떤 웹서버에
요청을 보내야하는지 결정함
DNS 조회
-브라우저는 입력된 URL을 IP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수행
HTTP 요청
-변환된 IP주솔르 사용해 웹 서버에 HTTP요청을 보냄
사용자가 요청한 리소스 반환하도록 서버에 지시
응답수신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 해당 리소스를
브라우저에 응답으로 보냄
렌더링
-브라우저는 수신된 HTML을 파싱하고
css,js해석해서 웹페이지 렌더링
DOM 트리와 CSSOM 트리를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해
이 렌더 트리를 통해 화면에 그림
스크립트 실행
-페이지 로딩 중 또는 로딩 후에 js코드 실행하여 동적 요소 처리
사용자 상호작용 처리
사용자가 페이지와 상호작용하면
브라우저는 이를 처리하고 새로운 HTTP 요청을 보내거나 js를 실행해
화면에 업데이트함
'IT 지식 >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호스팅이란? (8) | 2024.09.05 |
---|---|
[인터넷] DNS와 그 작동원리 (1) | 2024.09.03 |